본문 바로가기
Network

네트워크 사작, 패킷교환 방식

by Mia_ 2023. 1. 3.

네트워크의 시작 

 

- 지금 사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즉 IP 기반의 네트워크는 미 국방성에서 1969년 진행했던 아르파넷(ARPANET) 프로젝트에서 시작

- 아르파넷 프로젝트는 당시 냉전시대에서 핵전쟁을 대비하기 위한 통신망 구축을 위해 추진됨 

- 이때 기존에 사용되었던 회선방식이 아닌 패킷교환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됨 

- 이를 토대로 현재의 인터넷 통신 방식의 기반이 세워짐


회선 교환 방식

 

- 패킷 교환 방식은 기존 전환에서 사용했던 회선 교환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방식

- 회선 교환 방식은 회선 교환 중간엣 발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해주는 전화 교환원, 즉 오퍼레이터임 

- 회선 교환 방식은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데이티를 전송할 전용선을 미리 할당하고 둘을 연결함 

- 그래서 내가 연결하고 싶은 상대가 다른 상대와 연결 중이라면 상대방은 다른 상대와 연결되어 그 연결이 끊어지고 나서야 통화 가능

- 특정 회선이 끊어지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다시 연결을 성립해야 함 


패킷 교환 방식

 

: 패킷 교환 방식은 패킷이라는 단위로 데이터를 잘게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

- 각 패킷에는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가 있고 이에 따라 패킷이 목적지를 향해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음 

- 이를 이용하면 특정 회선이 전용선으로 할당되지 않기 때문에 빠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 

- 그래서 인터넷 프로토콜 줄여서 IP는 출발지와 목적지의 정보를 IP 주소라는 특정한 숫자값으로 표기하고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었음
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CP/IP  (0) 2023.01.03
IP와 IP Packet  (0) 2023.01.03
Postman  (0) 2022.12.02
Open API와 API Key  (0) 2022.12.01
REST API와 성숙도 모델  (0) 2022.12.0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