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P와 IP Packet
1 인터넷 망 속 수 많은 노드(다른 서버 컴퓨터들)을 지나 어떻게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 할 수 있을까?
→ ① IP 주소를 컴퓨터에 부여 ② IP는 지정한 IP 주소에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
2 IP 패킷 정보
- 패킷은 pack과 bucket이 합쳐진 단어로 소포로 비유할 수 있음
- 전송 데이터를 소포로 싸고 보내는 출발지 IP와 받아 볼 도착지 IP, 기타 내용을 적은 것 같음
3 클라이언트 패킷 전달
- 패킷 단위로 전송을 하면 노드(다른 서버 컴퓨터들)들은 목적지 IP에 서로 데이터를 전달
4 서버 패킷 전달
- 서버에서 무사히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다면 서버도 이에 대한 응답을 돌려줌
- 서버 또한 IP 패킷을 이용해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전달
IP의 한계
1 비연결성
- 만약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상태를 파악할 방법이 없으므로 패킷을 그대로 전송하게 됨
2 비신뢰성
- 또한 전달 데이터의 용량이 클 경우 이를 패킷 단위로 나눠 데이터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패킷들이 중간에 서로 다른 노드를 통해 전달 될 수 있음
- 이렇게 되면 클라이언트가 의도 하지 않은 순서로 서버에 패킷이 도착 할 수 있음
- 또한 패킷이 중간이 사라질 수 있음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계층 모델 - OSI 7계층 모델 (0) | 2023.01.03 |
---|---|
TCP/IP (0) | 2023.01.03 |
네트워크 사작, 패킷교환 방식 (0) | 2023.01.03 |
Postman (0) | 2022.12.02 |
Open API와 API Key (0) | 2022.12.01 |